본문 바로가기

경영*마케팅

소프트뱅크의 1,000억 달러짜리 뷔페

728x90
반응형

저렴한 자본 공급자 중에서도 첫손에 꼽히는 회사가 소프트뱅크다. 이 회사가 운용 중인 1,000억 달러 규모의 비전 펀드는 여러 계층에서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 전 세계 경영대학원에서 앞으로 수십 년 동안 가르치게 될 연구 사례인 비전 1의 참사는 소프트뱅크가 자초한 것이다. 그들의 전략은 자본을 전략으로 삼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많은 자본을 이용해 거리를 계속 성사시키고 투자받는 기업은 그걸 발판 삼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도약해서 경쟁 업체를 따돌리는 것이다. 소프트뱅크가 기업가들에게 홍보한 내용은 단순하면서도 설득력이 있다.

 

"당신들은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당신들이 조달하려는 자금의 3배를 투자하고 싶다. 만약 우리와 거래하지 않는다면 성장호르몬 역할을 할 이 엄청난 자본을 당신들의 가장 큰 경쟁사에 투입할 것이다."

 

자본은 사모펀드의 무기다. 그리고 막대한 현금을 보유한 이 훌륭하고 검증된 자산을 손에 넣을 수 있는 기업은 몇 안 된다.그러나 혼란과 교란의 기회가 무르익어가는 시장, 그리고 너무 멍청해서 자신이 실패하리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미친 천재 창업자는 모험과 성장을 위한 역할을 한다. 어떤 아이디어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할 때 기업의 능력만 우선시하면 수익률이 낮아진다. 이는 소프트뱅크의 투자 포트폴리오 전반에서 명확하게 드러나는 사실이다.

 

나의 뉴욕대학교 동료인 판카즈 게마와트 교수는 비즈니스와 무역에선 이제 거리가 아무 변수가 되지 못한다는 주장에도 여전히 이 두 가지가 지리학의 작용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놀라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소매점의 수익은 본사와의 근접성과 상관관계가 있다. 세쿼이아 캐피털은 내가 두 번째로 설립한 회사의 투자자였는데, 세쿼이아 이사의 말에 따르면 그 회사의 기본적인 투자 원칙 중 하나는 '파트너가 직접 차를 몰고 갈 수 없을 만큼 먼 회사에는 투자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참고로,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하는 대규모 벤처캐피털은 전 세계에 투자를 하지만 현지에 사무소를 개설하는 경우가 많다.

 

손정의와 애덤 노이만은 자기들이 사업을 벌이는 13개 표준 시간대의 중간 지점에서 만나기로 했다. 1980년대에 일본인들이 미국 영화 스튜디어와 골프장을 인수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소프트뱅크도 처음에 들고 온 것보다 적은 액수의 엔화를 쥐고 떠날 것이다.

 

나는 제너럴 캐털리스트, 매버론, 세쿼이아 캐피털, 웨스턴 프레시디오, JP모건, 골드먼삭스 등에서 투자금을 조달한 적이 있는데, 이들 모두 벤처 투자와 관련해 공통적으로 말하는 게 있었다. 바로 후속 투자 라운드를 주도하기를 싫어한다는 것이다. 훌륭한 투자자들은 '자기가 앞장서고 싶다'는, 즉 투자라운드를 여러 번 주도하고 싶다는 유혹을 뿌리치고 제3자가 적정 거리에서 회사 가치를 검증하도록 한다. 소프트뱅크는 2016년부터 여러차례 진행된 위워크 투자 라운드에서 유일한 리드 투자자였다.

 

아이러니하게도 벤처캐피털 측에 발생하는 실질적인 피해는 비전1 보통주를 소유하고 있는 소프트뱅크 직원들이 입게 될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공공 투자 기금과 무바달라 투자회사는 매년 7퍼센트의 수익을 배당받는 우선주를 보유하고 있어 포트폴리오 내에서 성공한 몇몇 기업의 수익을 빼돌린다. 현재 비전1은 폐렴에 걸렸고, 비전1의 보통주 소유자들은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는 상황이다.

 

자본이 넉넉해도 그것을 투자할 괜찮은 회사가 없을 수도 있다. 좋은 투자처, 즉 수십억 달러 규모의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신생 기업은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신생 기업은 언제나 부족하다. 신기술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우리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특한 비전을 지닌 뛰어난 기업가의 연금술이 자본을 두둑하게 보유한 행복한 기성 기업과 결합한다는 것은 정말 유니콘 사냥처럼 꿈같은 이야기다. 하지만 자본은 움직이는 재산이며, 쉬지 않고 움직이는 상어처럼 자본도 끊임없이 움직이지 않으면 죽는다. 그래서 좋은 기업이 모두 숲속에 숨어버린 것처럼 보일 때는, 곰처럼 생긴 게 사실은 유니콘일 거라고 억지로 믿어버리기도 한다. 

728x90
반응형